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슈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하는 방법, 아끼는 법

by Century21 2025. 2. 8.

해외주식 차트

 

해외주식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국내주식과는 달리 해외주식은 대주주 여부와 상관없이 매년 수익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데요, 연말 전에 반드시 내야 할 세금 계산을 해봐야 합니다.

먼저 기본 공식부터 말씀드리면,

 

양도소득세 = (확정수익 – 250만원) × 22% 입니다.

여기서 250만원은 기본 공제액인데, 해외주식은 국내주식처럼 대주주 기준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이 기본 공제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볼게요.

만약 테슬라 주식에서 500만원 손해를 보고, 엔비디아 주식에서 800만원 수익을 본 경우, 손익 통산하면 800만원 – 500만원 = 300만원이 되죠.

 

이 300만원에서 250만원을 공제하면, 50만원이 과세 대상이 되고,

이 50만원에 22%를 곱하면 약 11만원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 셈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꼭 유의할 점은, 여러 종목에서 손익을 통산해서 계산한다는 거예요. 즉, 손해가 난 주식과 이익이 난 주식을 같이 계산해서 최종 수익에서 250만원 공제를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 신고는 언제 하느냐도 중요한데요.

 

1년 동안의 손익 통산 금액이 250만원 이하라면 사실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고, 신고도 따로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250만원 이상이 된다면,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거래 내역을 정리해서 다음 해 5월에 홈택스를 통해 신고해야 합니다.

 

 

그리고 해외주식을 팔 때, 매도 체결일 기준으로 각 국가별 확정일이 있는데요.

예를 들면 미국은 2024년 12월 27일(금)까지, 일본은 12월 26일(목)까지, 홍콩은 12월 24일(화)까지 매도 체결분이 그 해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국내 매도 결제일이 12월 31일까지 확정되어야 그 해에 속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이 부분은 증권사 앱이나 관련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양도소득세 줄일수 있는 방법은?

마지막으로,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도 간단히 말씀드릴게요.

예를 들어, 수익이 많이 난 종목만 따로 매도하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으니까, 손해가 난 주식과 함께 매도해서 손익을 통산하면 과세 대상 금액이 줄어들어 세금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종목이라도 일정 수익이 날 때마다 일부 매도하고, 다시 매수하는 방법으로 관리하면 연간 과세 대상 수익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 주세요.

 

요즘 많은 증권사 앱에서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메뉴를 제공하고 있어서, 이를 활용하면 기본 공제액 250만원을 제외한 과세 대상 금액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한 곳에서 거래하는 게 편리할 거예요.

 

오늘은 이렇게 미국 주식,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주식 투자하시는 분들은 연말 전에 꼭 손익 통산 금액을 확인해서, 신고 기간에 맞춰 준비하시면 좋겠습니다.